과학지식

담배 연기만 피하면 된다? 3차 흡연의 폐해

들마을 2012. 2. 24. 10:51

직접 담배를 피우지 않아도 담배 연기를 맡는 간접흡연만으로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담배 연기를 피한다고 담배의 피해를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외부에서 흡연한 사람이 실내에 들어오면 옆 사람은 간접흡연과 비슷한 ‘3차 간접흡연’의 피해를 입을 수 있다. 흡연 시 생긴 독성물질이 흡연한 사람의 몸에 남아 실내로 들어오면 벽, 가구, 옷, 장난감, 집먼지 등 표면에 흡착한다. 때문에 옆 사람은 연기를 마신 것과 같은 간접흡연의 피해를 입는 것이다.

특히 간접흡연의 대표적 지표물질인 니코틴은 카펫이나 페인트가 칠해진 벽에 잘 흡착되는데, 철 표면에 비해 2~3배 높은 수준이다. 실내 먼지에 흡착된 니코틴은 21일이 지난 후에도 약 40% 남아있다. 이는 환기로도 해결할 수 없다.

흡연 직후 담배연기는 흡연자의 폐에 남아서 흡연자가 다른 장소로 간 후에도 미세입자로 배출될 수 있다. 흡연한 후 1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입자가 나오는 시간은 평균 1분으로, 이는 약 8.7번의 호흡을 하는 동안 나오는 입자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