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쁘거나 슬플 때와 같이 감정이 격해지면 일반적으로 눈물이 난다. 이럴 때 창피하다고 해서 눈물을 참을 필요는 없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감정이 격해져서 나오는 눈물에는 카테콜라민이라는 호르몬이 함께 나오는데, 카테콜라민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분비되는 호르몬이라고 한다. 이 호르몬을 배출함으로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마음이 안정되는 것이다.
또한, 이 카테콜라민이 몸에 쌓이면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여 심근 경색과 동맥 경화가 발생할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98%의 물과 2%의 단백질, 당분, 전해질로 구성된 눈물은 감정이 격해졌을 때뿐만 아니라 외부 자극에 의해서도 눈물이 나게 된다. 양파 껍질을 깔 때 흐르는 눈물이나, 먼지가 들어갔을 때 흐르는 눈물이 그것이다.
이와 같이 눈을 보호하기 위해 흐르는 눈물도 눈의 건강을 지켜준다. 항상 눈에 있는 눈물은 지방질이나 점액 성분이 있어 윤활 작용을 해 눈을 보호하는 것이다.
'과학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면에서 발견한 지혜 (0) | 2015.01.27 |
---|---|
시금치의 엽산, 노화도 예방한다 (0) | 2015.01.26 |
과일 당분 천차만별, 자기 몸에 맞게 알고 먹어야 (0) | 2015.01.22 |
맵거나 덜 맵거나, 효과는 똑같다 (0) | 2015.01.22 |
추운 날 조깅, 허벅지가 간지럽다면… (0) | 2015.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