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여름에 먹는 수박은 시원하고 달콤하지만, 한 통이든 반 통이든 한꺼번에 다 먹기는 힘들다. 그래서 보통 남은 수박을 비닐에 싸서
냉장보관을 하는데, 이렇게 보관하면 세균이 약 3천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수박 보관법에 따른 세균
오염도를 조사했다. 비닐에 싸서 냉장보관을 하는 경우와 수박을 조각 내 밀폐용기에 담아 보관하는 두 가지 방법을 나눠서 조사했다. 그 결과
비닐에 싸서 냉장보관을 했을 경우 표면부의 세균 농도는 초기와 비교해서 약 3천배 이상 증가했다. 이는 배탈이나 설사와 같이 위장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냉장 보관 후, 하루가 지난 수박 껍질에서 식중독균인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는 것으로 보아, 수박을 자를 때 균이
오염된 것으로 소비자원은 분석했다.
이번 시험에 사용된 칼이나 도마는 멸균을 해서 사용했고, 냉장고 환경도 식중독 균이 없게
깨끗하게 유지하면서 진행됐다. 하지만 일반 가정에서는 칼이나 도마를 멸균해서 사용하기 힘들기 때문에, 세균 오염도가 더 높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소비자원에 따르면 수박을 안전하게 먹기 위해서는 처음 수박을 자를 때, 칼이나 도마뿐만 아니라 수박도 깨끗이 세척해야
한다고 한다. 되도록 빨리 먹는 것이 좋지만 수박이 남았을 경우, 조각을 내서 밀폐용기에 담아 보관하는 것이 좋다.
'과학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효과, 속살에서 먼저 반응한다 (0) | 2015.08.25 |
---|---|
손발톱 무좀? 난 모르는 일이야! (0) | 2015.08.25 |
하얀 이가 누렇게 되는 이유 (0) | 2015.08.25 |
가짜 배고픔에 지는 당신, 참아라! (0) | 2015.07.29 |
팝가수의 라임병, 진드기가 옮긴다 (0) | 2015.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