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의 경우 하루의 정상적인 소변량은 1,000~1,500ml다. 400ml 이하면
소변량이 감소된 상태로 콩팥의 기능이 상실됐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 2,500ml 이상은 지나치게 소변량이 증가한 상태로 수분의 균형장애가
원인이 돼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와 같이 소변의 양뿐만 아니라 소변의 상태도 건강의 척도가 될 수 있는데, 일단 소변의 색이
선명하지 않고 뿌옇다면 요로 감염증을 의심할 수 있다. 게다가 통증이 동반되거나 화장실을 자주 간다면 요로 감염증의 확률이 더욱 높다.
소변에서 심한 악취가 난다면 방광에 감염이 있다는 증거다. 또 단내가 난다면 당뇨를 의심할 수 있다. 당뇨 환자의 소변에서 계속
단내가 난다면 제대로 혈당 수치 관리가 이뤄지지 않다는 의미다.
소변에서 혈액이 보이는 것은 요로 감염증, 신장결석 등을 의심해
볼 수 있고, 드물지만 방광암이나 신장암의 신호일 수 있으니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또한 소변을 볼 때 통증이 계속 나타난다면 성병이나 요로
감염증이 원인일 수 있다.
'과학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러 탈모 속설들은 과연 사실일까? (0) | 2016.08.17 |
---|---|
친근함을 발견할 수 있는 반려견의 행동 (0) | 2016.07.27 |
돌고래 소리, 콧물 때문에 나온다 (0) | 2016.07.27 |
독이 든 사과 씨앗, 먹지 마세요! (0) | 2016.07.27 |
잠수함에서도 채소를 재배한다?! (0) | 2016.07.27 |